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발표하는 현대자동차 정의선 회장님.
    [사진 출처: 매일경제]

     

    “트럼프의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한 현대차의 선택. 그런데 한국은 이익을 봤을까, 손해를 봤을까?”

    2025년 3월 말, 현대자동차 정의선 회장은 미국 백악관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나란히 서서 210억 달러(약 28조 원) 규모의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.
    그 순간, 국내 증시는 반응했고, 언론은 일제히 “트럼프 관세 회피 전략의 결정판”이라며 박수를 보냈죠.

    하지만, 문득 이런 질문이 떠오릅니다.

    “현대차는 살았는데… 한국은 웃고 있는 걸까?”
    ✅ 정의선의 21조, 미국에 가다

    2025년 초,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한국·일본·EU 자동차에 25% 관세 부과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.
    이에 대응해 정의선 회장은 백악관에서 트럼프를 만나, 2028년까지 미국 내 210억 달러(약 28조 원) 투자를 밝혔습니다.

    • 조지아 전기차 공장 생산량 확대
    • 루이지애나 저탄소 제철소 신설
    • 미국 내 부품망 강화와 고용 창출

    👉 현대차 210억 달러 미국 투자 발표 기사 – Reuters

    ❗ 그 돈, 한국에 들어왔으면?

    만약 이 21조가 한국에 투자되었다면 어땠을까요?

    • 경북·충청권에 신규 EV공장이 들어섰을 수도 있고
    • 배터리·부품 기업에서 수천 개의 일자리가 생겼을 가능성
    • 내연기관 협력업체에 전환 기회 제공

    그러나 현실은 다릅니다. 현대차는 국내 신규 공장을 발표하지 않았고, 기존 공장들의 생산 조정은 조용히 이뤄지고 있습니다.

    👉 현대제철, 루이지애나 철강 공장 건설 발표 – Reuters

    🔍 한국 경제, 뒷전인가?

    산업계에서는 이번 투자를 두고 ‘산업 공동화’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
    고용, 기술, 세금까지 해외로 이전되면서 한국 내 제조 기반은 약화되고 있습니다.

    👉 한국 정부, 미국 관세 대응 긴급 대책 발표 – Reuters

    📈 그럼에도, 현대차는 옳았다?

    정의선의 결정은 글로벌 기업의 관점에서 보면 생존 전략이었습니다.
    미국은 보조금과 세제 혜택을 자국 생산 기업에만 주기 때문에, 이는 피할 수 없는 선택이기도 했습니다.

    👉 현대차 “미국서 차량 가격 안 올린다” 발표 기사 – Reuters

    ❓ 그럼, 한국은 어떻게?

    이제는 정부가 국내 투자 유인을 제공할 차례입니다.

    •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
    • 국내 부품업계의 기술 전환 지원
    • 해외투자 기업에 대한 국내 환류 조건 강화

    글로벌 대기업이 떠나더라도, 남은 생태계를 지켜낼 국가 전략이 필요합니다.

    🧠 마무리하며: 정의선의 승부수는 한국에도 통했을까?

    현대차는 살았습니다. 관세도 피했고, 미국 시장도 확보했죠.
    하지만 우리는 그 뒷면에서 무엇을 잃고 있는지 돌아봐야 합니다.

    ✅ 트럼프의 관세는 막았지만,
    ❓ 우리의 일자리는 어디에 생기고 있을까요?

    이 글을 읽은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?


    🔗 함께 보면 좋은 글

    • 트럼프 관세폭탄에 맞선 정의선의 승부수, 미국차값은 그대로?
    • 트럼프 관세에 FTA 재협상? 한미 외교 긴장 최고조
    • 트럼프 자동차 관세 폭탄, 한국차는 무너지나?
    • 트럼프 관세폭탄, 미국도 무너졌다? 수출·일자리 전방위 충격